요즘 파킹통장이 인기가 많습니다. 왜냐하면 하루만 입금해놓아도 이자가 나오면서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하니 적금이나 예금처럼 돈이 묶이지 않아 목돈이 필요할 때 바로 출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죠. 파킹통장은 1 금융권부터 2 금융, 인터넷뱅킹까지 다양한 상품들이 있는데요. 그럼 시중 주요 은행 파킹통장 상품들의 금리를 비교 정리해 보겠습니다.
순위 | 금융사 | 상품 | 최고금리(%) | 최고 금리 한도 |
1 | OK저축은행 | OK읏백만통장Ⅱ | 5.0% | 1백만원 이하 |
2 | 다올저축은행 | Fi커넥트통장 | 4.0% | 2천만원 이하 |
3 | NH저축은행 | FIC-ONE 보통예금 | 3.8% | 1억원 이하 |
4 | SBI사이다뱅크 | 사이다 입출금통장 | 3.5% | 1억원 이하 |
5 | KB저축은행 | KIWI팡팡통장 | 3.5% | 1억원 이하 |
현 기준 가장 최고금리가 높은 5개 상품 리스트입니다. 이외에도 수많은 상품들이 있지만 금리가 낮기 때문에 제외했습니다. 하지만 금리만 보고 저축은행 상품을 개설하시면 안 됩니다. 본인이 예치할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가장 유리한 상품을 고르셔야 합니다. 그래서 최고 금리 한도 금액을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. OK읏백만통장이 최고금리는 5%로 가장 높지만 1백만 원까지만 5%이고 초과분은 차감한 금리를 적용하기 때문입니다. 그럼 각 상품별로 상세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.
1. OK읏백만통장Ⅱ (OK저축은행)
기본금리 : 1백만 원 이하분 연 4.5%, 1백만 원 초과 ~ 5백만 원 이하분 연 3.5%, 5백만원 초과 3.0%
우대금리 : 오픈뱅킹에 OK읏백만통장Ⅱ 등록하면 익일부터 추가 연 0.5% 적용
상품링크 : OK읏백만통장Ⅱ
2. FI커넥트 통장 (다올저축은행)
기본금리 : 2천만 원 이하 연 3.0%, 2천만원 초과분 연 0.5%
우대금리 : 타기관 오픈뱅킹에 계좌 등록 시, 익일부터 우대금리 추가 연 1% 적용
상품링크 : FI 커넥트 통장
3. FIN-ONE 보통예금 (NH저축은행)
기본금리 : 1억 원 이하 연 3%, 1억원 초과 연 0.2%
우대금리 : 마케팅 동의 0.2%, 자동이체 출금실적 0.3%, 간편 거래 거래실적 0.3%(TOTAL 0.8%)
상품링크 : FIC-One 보통예금
4. 사이다 입출금통장 (SBI 사이다은행)
기본금리 : 1억 원 이하 연 3.5%, 1억원 초과 연 0.2%
우대금리 : 별도 우대 금리 없음
상품링크 : 사이다 입출금통장
5.KIWI팡팡 통장 (KB저축은행)
기본금리 : 1억원 이하 연 3.0%, 1억원 초과 연 1.3%
우대금리 : 마케팅 수신 동의 0.2%, 자동이체 2건 이상 등록 0.1%, 앱 통한 타행 계좌 월 1회 이체 0.2% (TOTAL 0.5%)
상품링크 : KIWI팡팡통장
개인적은 생각으로 현시점 2천만 원 이하까지는 다올저축은행 상품을 이용하다가 NH저축은행으로 갈아타는 게 가장 좋은 방법으로 보입니다. 저축은행 상품도 비대면으로 통장 개설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바일앱으로 5분이면 가입이 가능하니 본인한테 가장 적합한 상품으로 가입하시면 되겠습니다. 저축은행 기준 예금자보호는 5천만 원까지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댓글